서브배경
서브이미지

진료시간안내

  • 평일 08:30 ~ 18:00
  • 점심시간 13:00 ~ 14:00

주말/공휴일 휴진

02-323-6660

건강정보


건강칼럼

홈으로_ 건강정보_ 건강칼럼

제목

양말, 세균 수십억 마리 서식... 세균 완벽 제거하는 '양말 세탁법'은?

image

발은 단순히 땀과 냄새만 나는 부위가 아니다. 1㎠의 손톱만 한 발 피부에는 최대 1,000만 개의 미생물이 서식하고, 사람마다 최대 1,000종의 박테리아가 존재한다. 발 전체 면적을 생각했을 때, 수억에서 수십억 마리의 양말 세균이 서식하는 셈이다.

영국 레스터대학교의 미생물학자인 프림로즈 프리스톤 박사(dr. primrose freestone)는 발은 '작은 열대우림'과 같은 환경이라며, 양말이 제대로 세탁되지 않으면 박테리아와 곰팡이가 번식해 발 냄새뿐 아니라 피부 감염까지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발 냄새, 단순 땀 냄새 아냐.. '열대우림' 속 미생물 대사가 원인
발가락 사이에는 땀샘이 밀집해 있어, 양말과 신발이 발을 감싸면 따뜻하고 습한 환경이 조성된다. 박테리아와 곰팡이가 번식하기에 최적의 조건이다. 발 피부 1㎠에는 100개~1,000만 개의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으며, 사람마다 최대 1,000종의 박테리아가 존재한다.

프리스톤 박사는 "발 속 미생물들은 땀과 각질을 먹고 자라며, 그 과정에서 나오는 휘발성 지방산과 황 화합물이 발과 양말, 신발의 악취를 만들어낸다. 즉, 발 냄새는 땀 냄새가 아닌 미생물의 대사산물"이라고 설명했다.

감염 확산의 주범 '양말'.. 같이 신지 말아야
문제는 양말이 발 속 미생물뿐만 아니라 우리가 걷는 바닥, 체육관, 정원 등 주변 환경의 미생물까지 흡수한다는 점이다. 프리스톤 박사는 "양말은 '미생물 스펀지'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또한 양말 속 미생물들은 양말 속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실제 병원 연구에서는 환자가 신은 슬리퍼 양말이 바닥의 항생제 내성 병원균을 침대까지 옮기는 것으로 확인됐다.

양말은 무좀을 옮기는 주요 매개체이기도 하다. 프리스톤 박사는 "무좀은 주로 발가락에 생기지만, 발뒤꿈치, 손, 사타구니까지 퍼질 수 있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질환"이라며, "따뜻하고 습한 환경을 좋아하기 때문에, 꽉 끼는 신발 속 땀에 젖은 양말은 무좀균의 이상적인 번식 환경이 된다"고 설명했다. 예방을 위해서는 체육관, 수영장 같은 공용 공간에서 맨발로 걷지 말고, 양말·수건·신발도 가족이나 타인과 공유하지 않아야 한다.

미생물학자 추천 양말 세탁법.. 고온 세탁 어려울 땐 '다림질'
프리스톤 박사는 "30~40°c의 세탁 온도는 박테리아와 곰팡이 제거에 충분하지 않다"고 설명하며, 양말 위생을 위한 구체적인 세탁과 관리 방법을 제시했다.

• 양말 안팎을 뒤집어서 세탁: 미생물이 주로 양말 안쪽의 표면에 쌓임
• 효소 기반 세제 사용: 효소가 땀과 피부 잔여물 분해
• 고온 세탁(60°c) 권장: 박테리아와 곰팡이 제거에 효과적
• 스팀다리미 활용: 낮은 온도 세탁 시 남은 포자 제거
• 면양말 선택 및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햇빛 건조: 곰팡이 감염 예방에 도움

프리스톤 박사는 '더 컨버세이션(the conversation)'에 양말 속 세균의 위험성과 관리법을 소개하며, "매일 새 양말을 신고, 신발을 다시 신기 전에 완전히 건조시키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